인트라넷이 아닌 외부에서 NAS를 제어 및 열람하고 싶을 때가 있다.

또는 192.168.x.x:5000 이런 방식으로 접근할때 IP 주소를 외우기 번거롭다.

이는 DDNS를 통해 간단히 해결 할 수 있다.

더불어 NAS에서 제공하는 각 서비스들을 서브 도메인을 통해 간편히 접근하고 싶다.

 

사용 예시>

DSM 접속: http://dsm.hostname.synology.me
GitLab 접속: http://git.hostname.synology.me

Terminal 접속: http://terminal.hostname.synology.me

 

라우터 포트 포워딩 + DDNS 설정 + Reverse Proxy를 통해 이를 모두 해결 할 수 있다.

 

라우터 포트 포워딩

기본적으로 많이 쓰이는 ipTime을 기준으로 설명한다.

DMS에 접속하여 NAS의 내부 IP 주소를 얻는다.

ipTime > 고급설정 > NET/라우터관리 > 포트포워드 설정에 HTTPS를 추가한다.

 

DDNS 설정

Synology의 DDNS 설정을 다음과 같이 추가한다.

Service provider를 synology를 선택하고 Hostname, email 등을 모두 기입해 준다.

만약 Synology ID가 없다면 생성하면 된다.

 

서브 도메인 설정

Control Panel > Application Protal > Reverse Proxy를 추가하면 서브 도메인으로 접속이 가능하다.

 

 

HTTPS 경고 수정

Control Panel > Security > Certificate

새 인증서로 Get a certificate from Let's Encrypt를 선택하고 셋팅하면 된다.

 

 

마무리

이로써 DMS 이외에도 Docker, GitLab등의 서비스들도 외부에서 접근하게 만들 수도 있다.

 

 

+ Recent posts